The Door, NAMELESS Architecture, Video by Kyung Roh

A door implies a place beyond it.
In addition to its functionality such as opening and closing, and safety and privacy, the door means a flexible and changing boundary that defines place. The nature of a traditional Korean door with a lattice set in the door frame, in particular, is quite gentle. The thin but durable lattice becomes one with changhoji (traditional Koran paper pasted on doors and windows) inside. Due to the semi-transparency unique to changhoji, door properly accommodates the inside and outside, rather than separating them. The look of a worn-out door loosened by many hands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in a relaxed mood.

We intend to reinterpret the possibility for the boundary of the traditional door using new materials and old methods. As a flexible architectural element rather than a fixed element, a door consists of the structural lattice made of reinforced epoxy and semi-transparent silicone surface. Although transparent, the structural lattice functions well as an independent structure. The soft surface with the elasticity of silicone applied on the structural lattice minimizes the separation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and even when the door is closed, light and silhouettes beyond the space show through. The act of people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hanges the surface of the door due to the elasticity of material. The tactile door beyond visual perception stimulates the inside of our senses and more actively intervenes between spaces.

 


sketch © NAMELESS Architecture

문은 그 너머의 장소를 함축한다.
이는 열림과 닫힘 그리고 안전과 프라이버시 등 문의 기능적 역할을 넘어 장소를 규정하는 유동적이며 변화하는 경계임을 의미한다. 특히 한국의 전통문은 꽤나 온화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목 구조의 얇지만 견고한 격자는 안쪽의 창호지와 하나 되어 특유의 반투명성으로 인해 안과 밖이 완전히 분리 되기 보다는 서로 다른 상황을 적절하게 수용하게 된다. 또한 사람의 손길에 의해 닳고, 느슨해진 모습은 안과 밖의 여유로운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우리는 전통의 문이 가지는 경계의 가능성을 새로운 재료와 구법을 통해 재해석하고자 한다. 고정되기 보다는 유연한 건축요소로서의 문은 강화에폭시의 구조적 살(영문해석시-structural lattice)과 반투명한 실리콘 표피로 구성된다. 강도가 있는 에폭시로 만들어진 구조살은 투명성에도 불구하고 자립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그 위 실리콘의 탄성을 가진 부드러운 표피는 안과 밖을 최소한으로 구분하며, 닫혀진 상태에서도 공간 너머의 빛과 실루엣을 전달한다. 또한 문을 열고 닫기 위한 사람의 행위는 재료의 탄성에 의해 문의 표면을 변화시킨다. 시지각을 넘어 촉감으로 경험되는 문은 우리 감각 내부를 자극하며 공간 사이에 더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된다.

 


photo © Lee Jong-keun


photo © Lee Jong-keun


photo © Lee Jong-keun


photo © Kyung Roh

 


drawings © NAMELESS Architecture

 


photo © Lee Jong-keun